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DOI 서비스
js.shin@kisti.re.kr
DOI 등록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실습교육 발표자료입니다.
DOI 등록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실습교육 발표자료입니다.
DOI 등록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실습교육 발표자료입니다.
DOI 등록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실습교육자료.
"관속식물의 입지와 수분과의 관계는 건조한 지역에 적응한 종류로부터 수중생활에 적응한 수중식물에 이르는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Arber 1920). 수생식물 중에서 완전 침엽수인 식물들은 수중화를 피우기도 하며, 더 극단적인 경우인 부유성인 것들은 토양 대신 물 속에 뿌리를 내리고 물위를 떠다니며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관속식물들의 수중생활은 육상생활형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Arber 1920, Faegri and Pijl 1979), 수생식물이라고 하는 것은 분류학적인 근거를 가진 식물군 이라고 볼 수 없으며,
"응애가 많은 경우에는 잎의 색깔이 변한다. 변색 양상은 응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그러나 응애의 수가 적을 때는 잘 나타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응애는 대부분 잎의 밑면에 있기 때문에 잎을 뒤집어 보아야 눈에 띈다. 그러나 클로버응애 종류는 잎의 윗면이나 잎자루에서도 발견된다. 식식성응애가 주로 식물의 잎 뒷면에 서식하므로 응애 포식성인 이리응애도 주로 잎 뒷면을 관찰한다. 이리응애가 확인되면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전정가위로 잎을 잘라 비닐봉지에 넣는데 일정한 장소에서 채집한 동인 식물만을 같은 비닐봉지에 넣되
거미목 등을 포함한 육상절지동물 문헌조사 자료 데이터베이스
"식물 바이러스란 바이러스는 숙주세포를 감염시켜 증식하는 생명체로서 숙주와 별도로 그 존재를 생각할수 없는 생명체이다. 바이러스에는 숙주에 따라 동물바이러스, 식물바이러스, 세균바이러스 (bacteriophage), 곰팡이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 식물바이러스는 식물 세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를 총칭한다. 전 세계적으로 식물 바이러스는 약 1,000여종이 분리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 보고된 식물바이러스는 약 120 여종이다. 국내에서도 80년대 말부터 바이러스의 유전자원과 경제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재평
"국내의 주요 가축인 개, 고양이, 돼지, 소 및 닭에서 발병되는 질병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질병진단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우선 1689개의 개와 고양이 질병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256개 주요 질병은 질병의 정의, 원인, 발병기전, 발병 및 역학, 주요증상, 진단, 감별진단, 병리소견(임상병리소견, 병리해부소견, 병리조직소견), 치료, 예방, 예후, 보호자에 대한 조언, 참고자료 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나머지 질병들은 질병의 개요와 증상들은 전부 나열하였다. 질병 정보의 검색은 축종과 질병명의 키워드를 통
지렁이는 환형동물문 (Phylum Annelida), 빈모강 (Class Oligochaeta)에 속한다. 많은 마디들로 이루어진 길죽한 몸통을 오무렸다 폈다 하면서 이동하고 눈, 귀, 코, 손 등은 없다. 전 세계적으로 이 그룹에 속하는 종류는 약 3,500종에 이르며, 사막과 극지 같은 곳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지렁이는 자웅동체, 즉 한 몸에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를 동시에 갖고 있다. 지렁이는 지표면이나 토양속에서 짝짓기를 한 뒤에 개체는 수정되며, 각각 난낭을 생산한다. 난낭은 종에 따라서 1개 또는 4-7개
국내조류분포 데이터베이스(Korea Bird Distribution Atlas Database)의 구축목적은 기존 학술조사자료와 연구기관별로 분산된 지역 조류조사자료를 통합,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수렴하여 관련 연구자나 일선 보호관련 행정기관의 정책입안시 공신력 있는 참고자료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기능을 지향하며 아울러 학술지나 보고서 형태로 출간되기 어려운 단편적인 조사나 기타 미발표 조사자료가 한 곳으로 집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자칫 일부 연구자의 개인적인 관찰기록으로 사장(死藏)될 수 있는 자료들을 이용 가능한 자료의 형태
곤충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 종 가운데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한다. 곤충은 전세계적으로 약 27목 100만종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약 12,000종 정도의 분포가 확인되어 있다. 국내의 이러한 분포는 전세계적으로는 물론, 인접국가인 종국이나 일본에 비해서도 1/3수준 정도에 머무르는 실정이나 근래 들어서 비교적 활발한 탐색활동으로 국내 분포 종의 수가 계속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곤충 종에 대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국내·외 생물학관련 연구자와 일반인들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다